2015년 1월 29일 목요일

포도나무과(Annonaceae) 식물 항암효능

포도나무과(Annonaceae) 식물 항암효능

그라비올라(좌), 스리까야(중), 물오(우)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나무가 속하는 포도나무과(Annonaceae)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 종에 달하며, Annona, Rollinia, Rvaria, Asiminia 4개 속(genus)은 과일 섭취가 가능하다. Annona 속에 속하는 종(spesies)은 8종으로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를 포함하여 Srikaya(Annona squamosa), Mulwo(Annona reticulata), Ilama(Annona diversifolia) 그리고 Annona glabra, Annona purpurea, Annona Montana 등이 있다.

인도네시아를 비롯하여 여러 열대 국가에서는 과일 생산을 위해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Srikaya(Annona squamosa), Mulwo(Annona reticulata) 3종을 주로 재배하고 있다. 유전학적으로 식물분류 연구결과에 따르면 Srikaya(Annona squamosa)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보다 Mulwo(Annona reticulata)에 유전학적 유연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나무과(Annonaceae) 식물에 속하는 종들에 대한 성분함량을 분석한 결과 아세토게닌 성분은 모두가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남미에서는 그라비올라보다 Mulwo(Annona reticulata)가 항암 효과가 더 뛰어나다는 보고도 있으나 그라비올라에서 추출한 아세토게닌 성분에 대한 항암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항산화 효과로 그라비올라가 다시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며, 스리까야(Srikaya) 잎의 경우 인도네시아에서는 주로 당뇨, 고혈압에 이용되어 왔으며 씨의 경우 리보솜 불활성 단백질(ribosome inactivating proteins)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항암 등 여러 질병에 대한 효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인도네시아 그라비올라 주목


인도네시아 그라비올라 주목
인도네시아 그라비올라 잎을 수집하여 미국 퓨드의대(Purdue University)에서 연구한 발표 논문
그라비올라에 대한 효능연구는 20세기 중반(1941-1962)부터 이루어 졌으며, 그 당시에는 주로 그라비올라 열매, 종자, , 나무껍질에 대한 항박테리아, 항곰팡이, 항기생성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1976년 미국의 국립 암연구소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처음으로 항종양 및 항암에 대한 효능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그 이후 그라비올라에 대한 지속적인 항암연구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짐.
1995-1996년 세계은행의 연구자금을 지원받아 인도네시아 반동공대(ITB) 솔락소노(Soelaksono)교수의 생물학팀과 미국 퓨드의대(Purdue University)의 제리 맥라우린(Jeey L,McLaughlin)교수의 항암연구팀이 인도네시아 서부자바지역에서 수집한 그라비올라 잎의 아세토게닌 성분에 대한 공동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짐.
이에 대한 In Vitro 연구결과는 1996-1998년 미국의 Journal of Natural Products 학술지에 기재하였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그라비올라 잎에 있는 아세토게닌 성분이 암세포의 ATP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하여 암세포를 사멸효과가 기존의 함암 치료제보다 100-1,000배 높은 것으로 밝혀냈으며 또한 12가지 암세포와 항암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암세포에도 효과가 아주 높은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함.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몇 10년동안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그리고 제리 맥라우린(Jeey L McLaughlin)교수 역시 연구방법에 대한 특허 출현을 함. 미국의 의약관련 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 다국적 제약회사의 보이지 않는 압력으로 그라비올라에 대한 세계 무역거래와 확산을 방해하고 있다고 폭로함. 인도네시아 역시 국내 식물유전자원 보호 명목으로 현재 그라비올라 종자와 묘종 수출 허가를 보류하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래들어 그라비올라에 대한 연구는 한국의 카톡릭의대를 비롯하여 일본: 오사카의대, 대만: 카요슝의대, 미국: 퓨드의대, 인도: 쿠마라구루기술대학, 페루: 마요르 드 산 마르코스의대, 브라질:브라질의대, 인도네시아: 가자마다의대 등에서 연구가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주요 항암관련 연구 논문
1. Feng, P.C., et al.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some West Indian medicinal plants." I. Pharm. Pharmacol. 14 (1962): 556-61.
2. Meyer, T. M. "The alkaloids of Annona muricata." Ing. Ned. Indie. 8,6 (1941): 64. 3. Carbajal, D., et al.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plant decoctions commonly used
in Cuban folk medicine." I. Ethnopharmacol. 33,1/2 (1991): 21-4.
4. Misas, C. A. J., et al. "Contribution to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Cuban plants. IV." Rev. Cubana Med. Trop. 31,1 (1979): 29-35.
5. Sundarrao, K, et al. "Preliminary screening of antibacterial and antitumor activi- ties of Papua New Guinean native medicinal plants." Int. I. Pharmacog. 31, 1 (1993): 3-6.
6. Heinrich, M., et al. "Parasitological and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Mixe Indian medicinal plants (Mexico)." I. Ethnopharmacol. 36,1 (1992): 81-5.
7. Lopez, Abraham A. M. "Plant extracts with cytostatic properties growing in Cuba. I." Rev. Cubana Med. Trop. 31,2 (1979): 97-104.
8. Bories, C. Et al. "Antiparasitic activity of Annona muricata and Annona cherimo- lia seeds." Planta Med. 57,5 (1991): 434-36.
9. Antoun, M.D., et al. "Screening of the flora of Puerto Rico for potential antimalar- ial bioactives." Int. I. Pharmacog. 31,4 (1993): 255-58.
10. Gbeassor, M., et al. "In vitro antimalarial activity of six medicinal plants." Phytother. Res. 4,3 (1990): 115-17.
11. Tattersfield, F., et al. "The insecticidal properties of certain species of Annona and an Indian strain of Mundulea sericea (Supli)." Ann. Appl. Bioi. 27 (1940): 262-73.
12. Hasrat, J. A., et al. "Isoquinoline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fruit of Annona muricata as 5-HTergic 5-HTIA receptor agonists in rats: unexploited antidepres- sive (lead) products." I. Pharm. Pharmacol. 49,11 (November 1997): 1145-49.
13. Unpublished data, National Cancer Institute. Anon: Nat Cancer Inst Central Files (1976). From Napralert Files, University of Illinois, 1995.
14. Zeng, L., et al. "Five new monotetrahydrofuran ring acetogenin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I. Nat. Prod. 59,11 (November 1996): 1035-42.
15. Rieser, M. J., et al. "Five novel mono-tetrahydrofuran ring acetogenins from the seeds of Annona muricata." I. Nat. Prod. 59,2 (February 1996): 100-8.
16. Wu, F. E., et al. "Additional bioactive acetogenins, annomutacin and (2,4-trans and cis)-10R-annonacin-A-one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I. Nat. Prod. 58,9 (September 1995): 1430-37.
17. Wu, F. E., et al. "New bioactive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genins, annomuricin C and muricatocin C,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I. Nat. Prod.58,6 (June 1995): 909-15.
18. Wu, F. E., et al. "Muricatocins A and B, two new bioactive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I. Nat. Prod. 58, 6 (June 1995): 902-8.
19. Wu, F. E., et al. "Two new cytotoxic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 genins, annomuricins A and B,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I. Nat. Prod. 58,6 (June 1995): 830-36.
20. Rieser, M. J., et al. "Bioactive single-ring acetogenins from seed extracts of Annona muricata." Planta Med. 59, 1 (February 1993): 91-2.
21. Rieser, M. J., et al. "Muricatacin: a simple biologically active acetogenin deriva- tive from the seeds of Annona muricata (Annonaceae)." Tetrahedron Lett. 32,9 (1991): 1137-40.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인도네시아 그라비올라 과일 생산현황


인도네시아 시르삭
시르삭 과일 쥬스
 
그라비올라 나무는 인도네시아서는 시르삭(Sirsak)이라고 불리는 열대 과수이다. 중남미가 원산지인 이 과수는 18세기 네들란드인들에 의해 처음으로 인도네시아로 전파되어 열대 아시아 국가로 퍼지게 되었다. 아직도 네들란드 인들은 쥬르작(Zuurzak)이라 불리며 그 이름에서도 느낄 수 있듯 신맛을 가진 과일을 뜻한다.
▣ 품 종: Sirsak Ratu(음료용-수카부미 쁠라부안라투), Sirsak biasa(음료 및 가공식품용-전국), Sirsak bali(음료용-발리 데와타섬), Sirsak Mandalika(음료 및 가공식품용-전국)
▣ 단위생산량: 10-50톤/헥타르/년 (1-2.5kg/개, 20-50개/1그루)
▣ 생산량: 일반적으로 시르삭 과일은 저장과 보관이 힘들어 인도네시아 농민들과 상인들이 선호하는 열대과수가 아니므로 수요에 대한 정확한 생산량 통계가 어려운 실정이나 인도네시아 농업부 통계자료(2004-2008년)에 따르면 시르삭 과일 생산량은 연간 55,000-84,000톤에 달함.
▣ 재배유형: 대규모 상업적 재배농장은 거의 없으며 일반적으로 일반농민 농장에서 소규모 과수영농 형태로 재배 생산됨.
▣ 수확면적: 약 4,148헥타르(2008년)
▣ 수확시기: 주로 10월과 11월 꽃이 피며 1월-2월에 과일이 많이 생산됨.
▣ 주요생산지: 주로 열대 습윤 저지대에서 많이 재배되며 건기가 4-6개월 지속되는 지역으로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재배되나 특히 서부자와 지역과 중부자와 지역에서 많이 재배 되어짐.
▣ 주요용도: 주로 가내수공업 형태의 쥬스, 퓨레, 도돌, 시럽, 젤리, 칩 등 소규모 생산되나 상업적 과일음료 제품도 시판되고 있음.
▣ 전통약제이용: 인도네시아도 전통적으로 구토, 설사, 간염, 고혈압, 관절염, 기침, 상처치료, 부종 등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신선 잎차를 달려 먹어나 현재 티벡, 건조분말, 캡슐 등의 상업적 제품들이 많이 시판되고 있음.

[참고자료]
1. Statistik pertanian, Kementerian Pertanian. Jakarta, 2009.
2. Ervizal AM Z, Bukti Kedasahsyatan Sirsak Menumpas kanker, Agromedia Pustaka, 2011
3. Prosea, Plant Resources of South-East Asia 2. Edible Fruits and Nuts, 1992.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2015년 1월 28일 수요일

그라비올라 아세토게닌 항암성분

그라비올라 활성물질 및 기작

그라비올라 잎에 있는 아세토게닌 성분은
기존의 항암치료제 아드리아미신(Adriamycin )보다 1,000배의 효과가 있다고 발표되었으며,
또한 세계 여러나라 연구결과에서도 아세토게닌 성분이 암세포를 사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활성물질 - Annonaceous Acetogenins
이 성분은 주로 Annonaceae(포도나무과) 식물에 존재하며 병원균 세포에 대한 독성을 가지는 성분, 주로 잎에 많이 분포함. 1940년부터 아세토게닌(Acetogenins) 성분에 대한 효능 연구실험을 함. 주로 미국 Purdue 의대와 국립 암센터에서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연구결과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까지 82종의 아세토게닌(Acetogenins) 성분이 밝혀짐.
※ 식물 활성물질.
그라비올라에는 많은 활성물질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주목을 끄는 것이 바로 Annonaceous acetogenins인데, 잎, 줄기, 내피, 열매씨앗에 골고루 존재한다. 대부분의 Acetogenins은 아주 적은 농도로도(백만분의 1정도에서도) 독특한 항암력을 나타내며, 항암, 항종양효과 외에 항바이러스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열매 속의 알칼로이드는 항울효과를 보인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Annonaceous acetogenins은 항종양, 항기생충, 항곤충, 항균효과외에 항암작용은 암세포 표면에만 나타나는 효소작용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때문에 정상세포에는 무해함이 NCI, NIH의 지원으로 연구를 시행한 미국 퍼듀대학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 활성기작 - 아세토기닌(Acetogenins) 성분이 암세포 내 ATP 생성을 저해함으로서 암세포를 괴사시킴. 무엇보다도 기존의 항암치료제 경우 암세포가 내성을 가지지만 아세토기닌(Acetogenins) 성분은 암세포 내 ATP 활성을 저해로 항암내성 암세포 괴사에도 효과가 있음.

※ 암세포 내의 ATP생성 자체를 차단함.
그라비올라의 Acetogenins은 complex I of oxidative phosphorylation chain(산화인산화사슬의 복합체 1)의 억제제로 작용하여 ATP 에너지 생성을 차단하여 암세포가 (정상세포가 계속 활동하도록 하는), P-glycoprotein에 의해 중개되는 펌프를 사용하지 못하게 함. 또한 acetogenins은 암세포원형질막에 독특한 ubiquinone-ubiquinone oxidase, NADH-dependent enzyme을 억제 한다.
그리고 1997년 퍼듀대학 연구진들은 다음과 같은 놀라운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다제내성암세포는 암세포 사이에 독특한 세포간 펌프를 만들어서 항암제를 암세포 밖으로 배출시켜버림으로써 항암제 내성을 발현시키는데, 아세토게닌은 정상세포에는 존재하지 않는 이 펌프를 셧 다운시켜버림으로써 다제내성항암제를 듣게 하는데, 이는 암세포의 증식에 반드시 필요한 ATP의 공급을 차단해 버림으로써 펌프차단을 일으키는 것 같다고 하였다. 더불어 현재 알려진 14종의 아세토게닌 중 13종에서 모두 Adriamycin, Vincristine, Vinblastine같은 항암제와 비교해 볼 때 다제내성유방암에 대해 훨씬 더 강력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임상연구결과 - 1976년 National Cancer Institute가 시행한 연구에서, 그라비올라 잎과 줄기는 암세포독성을 보였고 그 이후 연구들도 이 사실을 확증해주었다. 따라서 그라비올라에 있는 특별한 아세토게닌 및 그라비올라 추출물은 실험실성적으로 볼 때 그 효과가 있는 암들을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대장암, 간암, 악성임파종, 다제내성유방암 으로 거의 대부분의 암이다. 2003년 대만의 연구자들은 또한 난소암, 자궁암, 유방암, 방광암, 피부암들에서도 그라비올라의 주된 아세토게닌인 아노나신이 작은 용량을 써도 매우 잘 듣기에 전도가 유망하다고 보고했다.
2002년 3월에 발표된 일본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롭다. 폐암세포를 주입받은 실험쥐에 대해 대조군(아무 처치도 안함), 항암제인 Adriamycin처치군, Annonacin투여군(10mg/kg)으로 나누어 2주 지난 후 그 결과에 대해 검토해 보았더니, 대조군은 6마리 중 5마리가 사망했고, Adrimycin그룹에서 생존한 쥐는 50%의 암 크기 감소를 보였으나, 50%가 항암제 독성으로 죽었고, Annonacin그룹은 모두 생존했으면서도 암 크기가 57.9% 가량 모두에게서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 현재 연구상황 – 현재 그라비올라에서 항암작용하는 acetogenin에 대한 연구는 Pacific yew tree(주목나무) 내피에서 얻어낸 난소-유방-자궁-폐-위-백혈병에 탁월한 Taxol과 비슷한 경로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10년 연구결과 그라비올라에서 항암작용을 하는 acetogenin 화학성분이 annonacin임을 밝혀냈고 현재는 합성도 가능하지만 다국적제약사들은 그 물질에 대한 특허권을 주장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변형시켜서 새로운 물질들을 만들어 내어 실험을 하고 있지만 번번이 자연상태의 acetogenin에 비하면 그 효과가 너무 형편없는 실정이다. 현재 특허를 주장할 수 없는 Taxol에서 시행했던 것과 같은 대규모 임상실험을 합성된 acetogenin에 대해 NCI나 NIH는 수행 중이며 그 전도는 매우 밝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암환자들은 마냥 기다릴 수 만은 없기에, 아노나신을 함유하고 있는 40종이상의 천연 아세토게닌이 들어 있는 그라비올라의 잎과 나무줄기를 그들의 대체의학적 암 치료로 계속 써 오고 있는 것이다. 그라비올라는 수년간 다른 용도의 약초로도 써 왔듯이 아주 오랜 나날 동안 안전한 치료제로 각광 받아왔다. 그 동안의 연구결과들은 한결같이 항암능력을 가진 아세토게닌이 암세포와 건강하지 않은 세포들에게 직접 세포독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연구결과, 열매씨앗과 뿌리에서도 항암성 아세토게닌이 다량 발견되지만 씨앗과 뿌리에서 발견되는 다른 알칼로이드 물질들은 실험실상에서 신경독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기생충 구충 목적으로 씨앗과 뿌리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발견되는 Atypical Parkinson’s disease의 원인일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므로 항암목적으로는 씨앗과 뿌리를 써서는 안된다.

▣ 약리 효능 - 항암, 항종양, 항우울제, 항당뇨제, 항고혈압제, 항우울, 항스트레스, 신경증질환 치료, 항균제, 항말라리아, 항기생충, 항바이르스, 항경련, 안정유도, 항심장발작, 심장보전, 소화촉진, 해열, 신경안정, 비점막충혈완화, 자궁수축촉진, 혈관확장, 구충효과, 감기독감완화, 면역증대.

※ 열대지역 전통 약용식물 이용
열대지역의 자연의학적 치료도구로서 그라비올라는 식물 전체-내피, 잎, 뿌리, 열매, 씨앗 까지 각각 다른 용도로 쓴다. 일반적으로 열매와 그 주스는 기생충구충용으로, 해열제로, 산후모유분비촉진용, 설사,. 이질 완하제로 쓰이고, 짓이긴 씨앗은 몸 안팎의 기생충제거, 머릿니제거, 벌레제거용으로 쓰며, 내피, 잎, 뿌리는 정온제, 근육/장의 항경련제, 항고혈압제, 신경치료제로 쓰이고 차 형태로고 만들어 쓴다.
페루의 안데스지역에서, 잎차는 카타르(점막염증)치료, 짓이긴 씨앗은 기생충치료로 쓰고, 페루 아마존지역에서는 내피, 뿌리, 잎을 당뇨병, 정온제, 항경련 치료에 쓴다. 가이아나 토착인들은 정온제나 심장조절제로서 잎과 내피로 만든 차를 마신다. 브라질 아마존에서는 잎차를 간질환에 쓰고, 잎과 설익은 과일로 짠 오일을 올리브오일과 함께 섞어서 신경통, 류마티즘, 관절염통증에 외용으로 바른다. 자마이카. 하이티, 서인도제도에서는 과일과 그 주스를 해열, 구충, 설사치료에 쓰며, 내피나 잎은 항경련제, 정온제, 심장신경증, 기침, 독감, 분만곤란, 천식, 고혈압, 구충용으로 쓴다.

[참고문헌]
1. Jerry L. McLaughlin, Paw Paw and Cancer: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Discovery to Commercial Products, J. Nat. Prod., 2008, 71 (7), pp 1311–1321
2. Kojima, N. “Systematic synthesis of antitumor Annonaceous acetogenins” Yakugaku Zasshi. 2004; 124(10): 673-81.
3. Nicholas H. Oberliesa et al,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by several Annonaceousacetogenins in an in vitro disk diffusion assay, Cancer Letters, Volume 96, Issue 1, 4 September 1995, Pages 55–62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자무의 나라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자무 
 
 
자무(Jamu)는 인도네시아 자바종족들이 화학물질이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순수 자연의 자생식물을 이용한 허브의학을 일 컽는다. 인도네시아는 열대우림에 자생하는 3만여 종의 다양하고 풍부한 식물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약 1,000여 종이 전통적인 자무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자무 어원은 고대 자바어로매력(Jampi)” 또는치료(Usodo)”에서 나온(Jamu)”이라 의미로 사용되었다. 중세시대(14세기) 자바지역 왕궁에서는 우소도라는 단어 대신 잠삐라는 단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시대의 전통적인 치료자(Dukun)에 의해자무라고 불리며 대중에게 처음 소개되었다.
인도네시아 한방 의학인 자무는 오래 전 흰두교 시대부터 수 백 년을 내려왔으며 산스크리스트어로 적힌 동부칼리만탄 뚜주유파(Tujuh Yupa) 비문을 통해 5세기경부터 인도네시아 자무가 이용되었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힌두-불교 시대(772 AD)에 만들어진 보도부드러(Borobudur) 사원의 벽화에는 건강관리와 치료를 위한 허브 약을 준비하고 마시는 습관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기록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한 시대(991-1016 AD)에는 발리의 우사다 론따르(Usada Lontar)에 고대 자바어로 기록된 자무에 관한 처방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또한 힌두교 마자팟트(Majapahit) 왕조시대(1292-1478 AD)의 마드아와푸라(Madhawapura) 비문에는 아짜라키(Acaraki)라고 불리는 허브 혼합약재 사용에 대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시대에는 자무가 왕궁이나 왕궁주위에 제한된 사람들에게 사용되어 전해 내려왔으므로 일반인들이 이용하기 어려웠다. 16세기 이후 이슬람 시대와 더불어 서양 식물학자들에 의해서 인도네시아 약용식물에 대한 다양성과 치료 및 효능에 대한 서적을 출판하기 시작함으로 전 세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현재 인도네시아 전통의학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로 1만여 종의 전래 민간처방이 담긴 자무(Jamu), 두 번째가 38종의 표준화된 생약추출물로 구성된 표준화 생약(Obat Herbal Terstandar), 그리고 세 번째가 임상데이터를 통해 효과를 입증한 6종의 식물성약품(Phytopharmaca) 등이다. 자무는 경험적 데이터, 생약은 표준화, 식물성약품은 임상입증이 특징적으로 인도의 아류르베다(Ayurveda)와 비슷한 부분이 많다.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9가지 특징적 생약 식물들은 인도네시안 월계수, 구아바, 노니, 강황, 자바후추, 인디안 느릅나무, 자바튜메릭, 천심련, 붉은생강 등이 있다.
열대지방 원주민들이 오랫동안 전통적으로 이용해 오던 열대 약용식물들은 현재 과학적으로 그 효력이 검정되고 있으며 각종 질병에 대한 치료 사례도 수없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유해활성산소가 세포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어해주는 황산화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개발을 위해 열대 우림의 인도네시아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 민간전래 한방 의학인 자무는 아세안 국가 전통 약제제조 표준화(GMP) 규정에 의하여 과학화 및 국가 브랜드 상업화도 진행되고 있다. 향후 열대 약용식물들로부터 천연 기능성 신물질 개발을 통해 항암치료 및 예방, 회복, 면역력유지, 항당뇨 및 항고혈압, 항부인병, 피부보호 및 미용, 식욕증진 등에 널리 이용되어 완벽한 천연 건강식품으로 더욱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2015년 1월 27일 화요일

그라비올라 잎차 원료

100% 고품질 그라비올라 건잎

신선 잎(좌상)-자연건조 잎(우상)-절단 건잎(좌하)-마일드로스팅 분쇄잎(우하)

인도네시아 열대 우림 청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그라비올라 잎을 채취 및 세척한 후 엄선하여 비타민 과 유효성분 파괴를 최소화 하여 건조시켜 만든 100% 고품질 그라비올라 건잎!!!
엄선된 프리미엄 그라비올라 잎차 원료 구입을 희망하시는 분은 연락바랍니다.

그라비올라 잎차 원료 1kg 포장(절단건잎 및 로스팅 분쇄잎)

▣ 구입 및 제품문의: +62-251-755-3127, +62-815-8622-0552, guruseo11@gmail.com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그라비올라 잎차

그라비올라 잎차

수제 그라비올라 잎차
 
1. 열대우림 청정지역
인도네시아 서부자와 할리문-살락산 열대우림 국립공원(TNGHS) 자락 해발 800미터에서 자생하는 무공해 청정지역의 그라비올라 나무에서만 잎을 수확하기 때문에 공해물질이 잎 표면에 집착되지 않고 자연적인 깨끗함과 싱그러움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 그라비올라 나무의 잎은 특유의 정향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식물에 비해 개미가 많고 공해 및 오염물질이 잎 표면에 쉽게 달라붙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2. 효능 및 품질 극대화
5년 이상된 다 자란 그라비올라 나무 잎 중 아세토게닌 성분(Annonaceous acetogenins)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4-5번째 잎 위주로 선별 채취하여 제품을 생산하여 차의 효능를 극대화 시키고 있습니다.
- 연구논문 결과에 따르면 그라비올라 잎의 유효성분인 아세토기닌 성분은 다 자란 그라비올라 나무의 가지끝에서 4-5번째 잎(중간잎)에서 성분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므로 묘종잎, 어린잎 및 노화잎은 효능이 적거나 미비하기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3. 오랜 연구 및 개발
2005년 이후 10여년간 열대 약용식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2007년 그라비올라 잎차를 처음 개발하였으며 현재 인도네시아 보고르 농대 생약연구소의 생약제조 회사와 공동연구를 통한 그라비올라 잎차의 효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4. 수제 그라비올라 잎차
청정지역의 그라비올라 잎을 채취하여 좋은 것을 가려 세척한 후 비타민C 및 아세토게닌 유효성분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연건조를 거친 다음 향이 풍부하게 마일드로스팅합니다. 이를 분쇄시킨 다음 순가 열처리 후 포장하기에 유효성분을 최대한 유지 한 체 떫거나 쓰지 않고 향이 좋으며 구수한맛이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라비올라 잎차의 가장 중요한 것은 유효성분을 유지 한 체 차로서 맛과 향을 내는 것이므로 그라비올라 나무의 수령, 가지 끝 4-5번째 중간잎, 채취시기인 건기와 우기에 따른 잎 상태, 로스팅 온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 구입 및 제품문의: +62-251-755-3127, +62-815-8622-0552, guruseo11@gmail.com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2015년 1월 26일 월요일

그라비올라 식물학적 분류 및 특징

그라비올라 식물학적 분류 및 특징


▣ 학 명: Annona muricata Linn.
▣ 분 류: Annonaceae(포도나무과) Annona속
▣ 명 칭: Soursop(영어), Graviola(포르투갈), Paw Paw(브라질), Guanabana(스페인), Ang mo lau leen(중국), Durian belanda(말레이시아), Aathakka pazham(인도), Sirsak(인도네시아), Khiep thet(라오스), Duyin-awza(미얀마), Guayabano(필리핀), Thurian thet, Rian nam(태국), Tiep barang(캄보디아),
▣ 분 포: 원산지는 중남미 열대우림 지역이며 브라질, 페루, 멕시코, 아르젠티나, 에콰도르, 과테말라, 콜롬비아, 칠레, 하이티, 가이아나, 자메이카 등 에서 주로 생산되는 열대과일이며 남미 열대지역의 마켓에서는 스페인어 지역에서는 구아바나로 통하고, 브라질에서는 그라비올라로 통한다 19세기 이후 네덜란드인들에 의해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의 아시아 열대지방과 이디오피아, 가나,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 열대지방으로 전파되었다. 
▣ 특 징: Graviola는 크고 윤기가 나는 암록색의 잎을 가진 키가 5-6미터까지 자라는 상록수로서 속은 하얀 육질, 겉은 황록색의 직경 15-20cm정도 크기의 부정 심장모양의 먹을 수 있는 열매를 맺는다. 곁가지가 적고 연약한 편이며 잎은 끝이 뽀족한 장타원형의 모양이다. 꽃 모양은 삼각뿔 모양이며 안에는 암꽃과 수꽃이 들어있다.. 열매의 과육은 약간 신맛이 나며 쉽게 먹을 수 있고 음료수나 샤벳용으로 쓰인다.
▣ 전통약제이용:
(1) 과일 – 일반적으로 담석, 고지혈증, 이질, 골다공증, 식욕부진 등에 이용됨, 항산화 성분 다량함유, 과육(67%), 65kcal/100g, 아세토게닌(Acetogenins) 성분함유, 열병(하이티), 당뇨(페루),
(2) 잎 – 남미 아마존 종족들에게는 기적의 나무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는 간질환, 경련, 기침과 가래, 관절염, 신경통 등 다양한 질병에 이용되기 때문임. 잎 끝에서 4-5번째 잎이 아세토게닌닌(Acetogenins) 성분함유량이 가장 높게 나타남. 천식(안데스 페루), 당뇨, 경련, 진정제(아마존 페루), 열병(칼리만탄, 아프리카), 간질환(마다가스카르), 말라리아(토고), 기생충(과테말라), 천식(괌), 고혈압(말레이시아), 심장병, 간질환, 진정제(아마존 브라질), 진정제, 불면증(인도서부), 숙취해소(가이아나), 불면증(폴란드), 진통제, 진정제(에콰도르), 천식, 기침, 설사, 소화불량, 부종, 상처치료, 피부병(인도동부),
(3) 씨앗 – 천연 살충제, 토너 및 피부청결 화장품(브라질)
(4) 뿌리 – 신경 진정제, 경련, 고혈압. 당료, 피부병, 기생충(브라질 아마존)
(5) 줄기껍질 – 경련, 진정, 당료(아마존 페루), 이온음료, 진정제, 심장병(기니아), 고혈압(자메이카), 심장병(하이티),
(6) 꽃봉우리 – 기관지 및 가슴통증(브라질)

[참고문헌] Prosea, Plant Resources of South-East Asia 2. Edible Fruits and Nuts, 1992.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그라비올라 효능 및 효과

그라비올라 효능 및 효과

 

열대지방에 자생하는 사우어솝(Soursop) 열대 과일나무는 아마존 종족들에게는 “기적의 나무”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는 간질환, 경련, 기침과 가래, 관절염, 신경통 등 다양한 질병에 이용되기 때문이다. 1976년 국립암연구센터(National Cancer Institute)와 1997년 미국의 퍼듀의대(Purdue Unv.)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우어솝 잎에 들어있는 아노나세오스•아세트게닌(Annonaceous acetogenins)이란 성분은 특이적으로 암세포의 ATP생성 기작을 저해함으로써 기존의 화학요법의 항암제 아드리아미신(Adriamycin) 보다 1만 배 강력한 암세포 사멸효과를 가진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아노나세오스•아세트제닌이 가지는 강력한 항암성분은 전립선암, 폐암, 유방암, 결장암, 간암, 자궁암 및 췌장암 등과 또한 화학요법에 의한 내성 암세포에도 탁월한 효과를 있는 것으로 알려져 현재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그에 관련한 특허가 다량 출원되고 있다. 또한 항종양, 항기생충, 항균, 항우울, 항스트레스, 항고혈압 등에도 탁월한 효과가 증명되어 완벽히 천연 건강 항암식품으로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신비의 식물이다.

*효능 및 효과
함암 및 항종양, 항균, 항우울증, 항스트레스, 항기생충, 항말라리아, 항경련, 항류머티즘, 근육이완작용, 항고혈압, 신경안정작용, 심장 및 간 강화

*주요 약리성분
아노나세오스•아세트제닌(Annonaceous acetogenins), Reticuline, Loreximine, Coclaurine, Annomurine, Higenamine. Essential oil,

*사용방법 및 주위사항
▣ 신선 잎차 - 태양광을 받고 자란 시르삭 어린잎과 오래된 잎을 제외한 중간의 시르삭 신선 잎 10-15장을 600ml(커피잔 3잔)의 물을 넣고 200ml(커피잔 1잔)이 되게 끓인 다음 음용함.
▣ 건조 잎차 - 음건하여 파쇄 후 찻잔에 건조 잎 분말을 2-3회 티수푼으로 넣은 다음 뜨거운 물을 부어 음용함.
▣ 복용량 안전성 - 그라비올라 잎의 치료용량은 하루 3-4회 일회당 2-3그람 정도로서, 미국의 건강보조식품마켓에서는 캡슐이나 팅크제로서 팔리고 있다. 동물 임상실험 연구결과 무해한 것으로 보고되나 대량 사용 시 오심, 구토 유발 가능, 지나치게 안정을 유발하거나 졸림기가 있으면 용량을 줄여야 한다.
▣ 주의사항 – ATP 생성 활성제(예: 코엔자임 Q10 보충제) 동시 복용은 피해야 하며 따라서 파킨슨환자는 금기이며, MAO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고혈압약제 및 우울증약제 쓰는 사람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 자궁을 수축시키는 효과가 있어 임산부,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어 저혈압환자, 심장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가 있어 심장병 환자에게 금한다.
※ 상대적 금기: 고혈압약제 사용시는 용량 조절이 필요함. 장기간 사용시는 장내 유익세균의 die-off반응이 나타난다. 따라서 30일 이상 사용시는 유산균제 및 소화제 복용이 필요하다.
※ 상호약리작용: Graviola는 항고혈압제 및 심장발작 억제제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고 항우울제 효과를 강화시키며 MAO억제제 효과를 차단할 수 있다.

*관련문헌
Jerry L. McLaughlin, Paw Paw and Cancer: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Discovery to Commercial Products, J. Nat. Prod., 2008, 71 (7), pp 1311–1321
Kojima, N. “Systematic synthesis of antitumor Annonaceous acetogenins” Yakugaku Zasshi. 2004; 124(10): 673-81.
Liaw, C. C., et al. “New cytotoxic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Annona muricata.” J. Nat. Prod. 2002; 65(4): 470-75
Padma, P., et al. “Effect of Annona muricata and Polyalthia cerasoides on brain neurotransmitters and enzyme monoamine oxidase following cold immobilization stress.” J. Natural Remedies 2001; 1(2): 144–46.
Nicolas, H.,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diverse Annonaceous acetogenin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human mammary adenocarcinoma (MCF-7/Adr) cells.” J. Med. Chem. 1997; 40(13): 2102-6.
Nicholas H. Oberliesa et al,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by several Annonaceousacetogenins in an in vitro disk diffusion assay, Cancer Letters, Volume 96, Issue 1, 4 September 1995, Pages 55–62

Copyrights @ 2015 by PT Samtong Java Natural, All Rights Reserved.
 

그라비올라 연구논문

그라비올라 연구논문


(1) 항암 및 항종양
Kojima, N. “Systematic synthesis of antitumor Annonaceous acetogenins” Yakugaku Zasshi. 2004; 124(10): 673-81.
Tormo, J. R., et al. “In vitro antitumor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threo/trans/threo mono-tetrahydro-furanic acetogenins: Correlations with their inhibition of mitochondrial complex I.” Oncol. Res. 2003; 14(3): 147-54.
Yuan, S. S., et al. “Annonacin, a mono-tetrahydrofuran acetogenin, arrests cancer cells at the G1 phase and causes cytotoxicity in a Bax- and caspase-3-related pathway.” Life Sci. 2003 May: 72(25): 2853-61.
Liaw, C. C., et al. “New cytotoxic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Annona muricata.” J. Nat. Prod. 2002; 65(4): 470-75
Gonzalez-Coloma, A., et al. “Selective action of acetogenin mitochondrial complex I inhibitors.” Z. Naturforsch. 2002; 57(11-12): 1028-34.
Chang, F. R., et al. “Novel cytotoxic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Annona muricata.” J. Nat. Prod. 2001; 64(7): 925-31.
Jaramillo, M. C., et al. “Cytotoxicity and antileishmanial activity of Annona muricata pericarp.” Fitoterapia. 2000; 71 (2): 183-6.
Betancur-Galvis, L., et al. “Antitumor and antiviral activity of Colombian medicinal plant extracts.” Mem. Inst. Oswaldo Cruz. 1999; 94(4): 531-35.
Kim, G. S., et al. “Muricoreacin and murihexocin C, mono-tetrahydrofuran acetogenin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Phytochemistry. 1998; 49(2): 565-71.
Kim, G. S., et al. “Two new mono-tetrahydrofuran ring acetogenins, annomuricin E and muricapentocin,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J. Nat. Prod. 1998; 61(4): 432-36.
Nicolas, H., et 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diverse Annonaceous acetogenin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human mammary adenocarcinoma (MCF-7/Adr) cells.” J. Med. Chem. 1997; 40(13): 2102-6.
Zeng, L., et al. “Five new monotetrahydrofuran ring acetogenin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J. Nat. Prod. 1996; 59(11): 1035-42.
Wu, F. E., et al. “Two new cytotoxic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genins, annomuricins A and B,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J. Nat. Prod. 1995; 58(6): 830-36.
Oberlies, N. H., et al.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by several Annonaceous acetogenins in an in vitro disk diffusion assay.” Cancer Lett. 1995; 96(1): 55-62.
Wu, F. E., et al. “Additional bioactive acetogenins, annomutacin and (2,4-trans and cis)-10R-annonacin-A-one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J. Nat. Prod. 1995; 58(9): 1430-37.
Wu, F. E., et al. “New bioactive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genins, annomuricin C and muricatocin C,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J. Nat. Prod. 1995; 58(6): 909-5.
Wu, F. E., et al. “Muricatocins A and B, two new bioactive monotetrahydrofuran Annonaceous acetogenins from the leaves of Annona muricata.” J. Nat. Prod. 1995; 58(6): 902-8.
Sundarrao, K., et al. “Preliminary screening of antibacter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pua New Guinean native medicinal plants.” Int. J. Pharmacog. 1993; 31(1): 3-6.

(2) 항균작용
Takahashi, J.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eight Brazilian Annonaceae plants.” Nat. Prod. Res. 2006; 20(1): 21-6.
Betancur-Galvis, L., et al. “Antitumor and antiviral activity of Colombian medicinal plant extracts.” Mem. Inst. Oswaldo Cruz 1999; 94(4): 531-35.
Antoun, M. D., et al. "Evaluation of the flora of Puerto Rico for in vitro cytotoxic and anti-HIV activities." Pharmaceutical Biol. 1999; 37(4): 277-280.
Padma, P., et al. “Effect of the extract of Annona muricata and Petunia nyctaginiflora on Herpes simplex virus.” J. Ethnopharmacol. 1998; 61(1): 81–3.
Sundarrao, K., et al. “Preliminary screening of antibacter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pua New Guinean native medicinal plants.” Int. J. Pharmacog. 1993; 31(1): 3–6.
Misas, C. A. J., et al. “Contribution to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Cuban plants. IV.” Rev. Cubana Med. Trop. 1979; 31(1): 29–35.

(3) 항우울증 및 항스트레스 작용
Padma, P., et al. “Effect of Annona muricata and Polyalthia cerasoides on brain neurotransmitters and enzyme monoamine oxidase following cold immobilization stress.” J. Natural Remedies 2001; 1(2): 144–46.
Hasrat, J. A., et al.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rom Suriname for 5-HT 1A ligands: Bioactive isoquinoline alkaloids from the fruit of Annona muricata.” Phytomedicine. 1997; 4(20: 133-140.
Padma, P., et al. “Effect of alcohol extract of Annona muricata on cold immobilization stress induced tissue lipid peroxidation.” Phytother. Res. 1997; 11(4): 326-327.
Hasrat, J. A., et al. “Isoquinoline derivatives isolated from the fruit of Annona muricata as 5-HTergic 5-HT1A receptor agonists in rats: unexploited antidepressive (lead) products.” J. Pharm. Pharmacol. 1997; 49(11): 1145–49.

(4) 항기생충, 항말라리아, 구충 작용
Luna, J. S., et al. “Acetogenins in Annona muricata L. (Annonaceae) leaves are potent molluscicides.” Nat. Prod. Res. 2006; 20(3): 253-7.
Jaramillo, M. C., et al. “Cytotoxicity and antileishmanial activity of Annona muricata pericarp.” Fitoterapia. 2000; 71(2): 183–6.
Alali, F. Q., et al. “Annonaceous acetogenins as natural pesticides; potent toxicity against insecticide-susceptible and resistant German cockroaches (Dictyoptera: Blattellidae).” J. Econ. Entomol. 1998; 91(3): 641-9.
Antoun, M. D., et al. "Screening of the flora of Puerto Rico for potential antimalarial bioactives.” Int. J. Pharmacog. 1993; 31(4): 255–58.
Heinrich, M., et al. “Parasitological and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Mixe Indian medicinal plants (Mexico).” J. Ethnopharmacol. 1992; 36(1): 81–5.
Bories, C., et al. “Antiparasitic activity of Annona muricata and Annona cherimolia seeds.” Planta Med. 1991; 57(5): 434–36.
Gbeassor, M., et al. “In vitro antimalarial activity of six medicinal plants.” Phytother. Res. 1990; 4(3): 115–17.
Tattersfield, F., et al. “The insecticidal properties of certain species of Annona and an Indian strain of Mundulea sericea (Supli).” Ann. Appl. Biol. 1940; 27: 262–73.

(5) 항경련 및 근육이완 작용
N’gouemo, P., et al.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nnona muricata on pentylenetetrazol-induced convulsive seizures in mice.” Phytother. Res. 1997; 11(3): 243–45.
Feng, P. C., et al.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some West Indian medicinal plants.” J. Pharm. Pharmacol. 1962; 14: 556–61.

(6) 항고혈압 및 신경안정 작용
Carbajal, D., et al.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plant decoctions commonly used in Cuban folk medicine.” J. Ethnopharmacol. 1991; 33(1/2): 21–4.
Feng, P. C., et al. “Pharmacological screening of some West Indian medicinal plants.” J. Pharm. Pharmacol. 1962; 14: 556–61.
Meyer, T. M. “The alkaloids of Annona muricata.” Ing. Ned. Indie. 1941; 8(6): 64.